커버 스토리
- What a major battery fire means for the future of energy storage
대형 배터리 화재가 던진 의문…에너지 저장 기술은 과연 안전한가?
지난달 미국에서 발생한 모스랜딩 발전소 화재로 인해 에너지 저장 기술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AI crawler wars threaten to make the web more closed for everyone
[OPINION] 웹 개방성 위협하는 ‘AI 크롤러 전쟁’
인터넷에서 무분별하게 데이터를 수집하는 AI 크롤러와 데이터 게시자 간의 ‘전쟁’이 점점 더 격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우리 모두가 피해를 볼지도 모른다. - Nokia is putting the first cellular network on the moon
4G로 연결되는 달… 우주 통신 기술 새 시대 열리나
방사선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4G 네트워크가 달에 구축되면서, 향후 달 탐사 및 거주를 위한 혁신적인 우주 통신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 The dream of offshore rocket launches is finally blasting off
점점 커지는 우주 로켓 해상 발사의 꿈
우주 비행의 꿈이 그 어느 때보다 현실에 가까워진 가운데 해상 로켓 발사는 우주 비행 수요 증가로 인한 혼잡을 해소하고 환경 보호와 발사 유연성이라는 이점을 제공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Meta has an AI for brain typing, but it’s stuck in the lab
메타, 생각만으로 타이핑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중
메타가 뇌 신호를 분석해 어떤 글자를 입력할지 알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소비자 판매용 제품이 아니다. 메타는 신경과학 연구를 통해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 China’s EV giants are betting big on humanoid robots
BYD도 샤오펑도 꽂혔다…휴머노이드 로봇에 베팅하는 중국 전기차 기업들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기술 노하우와 기존 공급망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 The AI relationship revolution is already here
새로운 ‘관계’ 혁명은 이미 시작됐다…AI 관계 시대의 도래
챗봇이 우리가 타인뿐 아니라 우리 자신과 소통하는 방식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는 결코 챗봇이 없던 시절로 되돌아가지 못할 것이다. - Why the next energy race is for underground hydrogen
다음 에너지 경쟁은 지하에 매장된 ‘수소’다
수소는 화학 합성 원료 및 친환경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막대한 지하 매장량 덕분에 수소는 경제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스마트폰 이상의 파괴적 혁신될 것”, 페기 존슨 어질리티 로보틱스 CEOFREE
지난 60년간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로봇, 그중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이 AI라는 새로운 날개를 달고 비상하고 있다. 학교나 연구소에서의 연구 대상에서 공장의 자동화와 노동력 보조 역할로 탈바꿈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실제로 개발하고 공장과 창고 업무에 공급하고 있는 어질리티 로보틱스(Agility Robotics)의 페기 존슨(Peggy Johnson) CEO를 만나 휴머노이드 로봇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모든 토픽
- Supersonic planes are inching toward takeoff. That could be a problem.
초음속 비행기 시대 열린다…환경 부담은 과제
항공기는 빠를수록 더 많은 연료를 소비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대체 연료는 기후 변화를 막을 근본적인 해법이 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 A new company plans to use Earth as a chemical reactor
지구를 거대한 화학 반응기로 활용하는 스타트업
합성 비료의 재료로 사용되는 암모니아는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스타트업 애디스 에너지는 지구 내부의 압력과 온도를 활용해 지표면 아래에서 암모니아를 생산하고자 한다. - Three things to know as the dust settles from DeepSeek
딥시크 소란이 가라앉은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세 가지 사실
딥시크의 놀라운 성능에 환호하던 시간이 지나갔다. 이제 우리는 다음 세 가지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 Humanlike “teeth” have been grown in mini pigs
돼지 입에서 배양한 ‘진짜 같은 치아’가 임플란트 대체할까
최근 미국 연구팀이 치아 세포를 돼지의 턱뼈에 이식해 치아 모양의 구조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이번 성과가 생명공학 기술에 기반한 치아 임플란트 대체재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How the Rubin Observatory will help us understand dark matter and dark energy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비밀 풀어낼 루빈 천문대
세계 최대 규모의 디지털카메라가 설치된 베라 C. 루빈 천문대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신비로운 현상을 그 어느 때보다 정교하고 섬세하게 포착할 것이다. - Three reasons Meta will struggle with community fact-checking
[OPINION] 메타의 커뮤니티 기반 팩트체크 정책에 던지는 ‘쓴소리’
최근 마크 저커버그가 적극적인 콘텐츠 중재 방침을 철회함에 따라 메타의 팩트체크는 자발적인 참여에 의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커뮤니티 기반의 팩트체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선결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 Anthropic has a new way to protect large language models against jailbreaks
앤트로픽, 대형언어모델의 왜곡 방어 체계 공개
앤트로픽이 선보인 최신 방어 체계는 현존하는 탈옥 차단 기술 중 가장 강력한 방어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보안에서 완벽한 차단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Four Chinese AI startups to watch beyond DeepSeek
딥시크만 있는 것이 아니다. 네 개의 또다른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외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중국의 AI 스타트업 네 곳을 소개한다. 이 기업들은 모두 중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밀리지 않을 만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MIT는 왜 초소형 곤충 로봇을 개발했나?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미래FREE
드론은 최근 혁신을 거듭하며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드론 중 최근에는 곤충을 닮은 소형화된 로봇이 등장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좁은 구조물이나 기계 내부의 안전 검사, 혹은 재난 구조와 같이 기존 드론을 활용하기 어려웠던 영역에 적합한 초소형비행체(Micro Aerial Vehicle, MAV)를 개발한 MIT 전자컴퓨터공학과(EECS)의 김수한 연구원을 만나 MAV의 미래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 Three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US climate tech under Trump
트럼프 시대 미국 기후테크의 미래를 둘러싼 세 가지 질문
트럼프 시대에 전기차와 풍력발전 같은 기후테크는 어디로 향하게 될까? - DeepSeek might not be such good news for energy after all
에너지 절약 기대했지만…딥시크, 추론 단계서 에너지 소비 급증
딥시크의 ‘연쇄적 사고' 방식이 AI 전반에 적용될 경우, 에너지 절감이 아닌 오히려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Useful quantum computing is inevitable—and increasingly imminent
[OPINION] “젠슨 황이 틀렸다…유용한 양자컴퓨터는 ‘곧’ 반드시 등장할 것”
AI도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런 발견에 획기적 발전이 일어나려면 양자컴퓨터가 필요할 것이다. - This quantum computer built on server racks paves the way to bigger machines
캐나다 스타트업, 쉽게 확장 가능한 광자 기반 양자컴퓨터 개발
캐나다의 양자컴퓨팅 스타트업인 자나두가 광자 기반의 양자컴퓨터를 구축했다. 자나두에 따르면 이 양자컴퓨터는 규모를 쉽게 확장할 수 있다. - OpenAI’s new agent can compile detailed reports on practically any topic
오픈AI, 거의 모든 주제로 상세 보고서 작성 가능한 새 에이전트 출시
오픈AI가 새로 출시한 AI 에이전트 딥 리서치(Deep Research)는 사람에게 작성에 ‘수십 시간’ 걸릴 수 있는 상세 보고서를 단 ‘수십 분’ 만에 작성할 수 있다. - How DeepSeek ripped up the AI playbook—and why everyone’s going to follow its lead
추론 모델의 가격 파괴…딥시크 쇼크는 어떻게 가능했나?
중국의 AI 기업 딥시크는 최고의 AI 연구소들이 차세대 모델을 어떤 식으로 구축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밀을 공개했다. 이제 AI 업계에는 흥미로운 일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전문가 칼럼] 한국 기업 관점에서 본 ‘딥시크’ 해석서FREE
딥시크가 불러온 거대한 파도는 AI 산업에 커다란 변화를 예고하고 있지만 딥시크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우려 섞인 눈길도 쏟아지고 있다. 딥시크의 근본적인 실체는 무엇이고, 국내 기업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OpenAI releases its new o3-mini reasoning model for free
오픈AI, 딥시크 대항마로 저비용 추론 모델 o3-미니 출시
중국에서 출시한 AI 모델 ‘딥시크’로 전 세계가 들썩이는 가운데 오픈AI가 기존 버전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면서 정확도는 더 높은 첨단단 추론 모델 o3-미니를 내놓았다. - What's next for robots
AI 기술로 진화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올해 어디로 향할까?
휴머노이드 로봇의 테스트가 본격화되고 군사적 활용이 늘면서 2025년은 로봇 회의론자들에게도 흥미로운 한 해가 될 것이다. - AI’s energy obsession just got a reality check
딥시크, AI 에너지 경쟁의 판도를 흔들다
중국이 개발한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가 AI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수적이라는 기존 인식을 뒤흔들고 있다. - The second wave of AI coding is here
AI 코딩, 제2의 물결이 시작된다
AI 코딩 어시스턴트 분야의 여러 스타트업이 훨씬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생산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경쟁이 범용인공지능(AGI)에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더보기